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초대장
- 세일
- 무료
- 할인
- 무료게임
- Android
- PLUS
- PSN 세일
- 티스토리 초대장
- 선정
- 플레이스토어 할인
- 플레이
- PSN 할인
- PS Store
- PSN
- 게임
- 무료배포
- 스토어
- ps4
- PS
- 안드로이드
- 티스토리
- 플레이스테이션
- 추첨
- 플레이스토어
- 배포
- 플레이스토어 무료
- PS PLUS
- 이벤트
- TISTORY 초대장
Archives
- Today
- Total
타쿠타쿠
[똥컴] 노트북 배틀그라운드 최적화 방법 본문
반응형
필자의 노트북 성능
I5 4200M 2코어 4스레드 DDR3 듀얼채널 8GB GT740M 그래픽메모리 2GB
1. 스팀에서 시작옵션 설정.
2. NVIDIA 제어판 옵션.
3. ini 파일 수정.
4. 윈도우 설정(가상메모리 + SD메모리).
(윈도우10기준)
1.시작옵션.
스팀 라이브러리 → 배틀그라운드 우클릭 → 속성 → 시작 옵션 설정
적용방법.
※ 이 3가지 옵션은 사양마다 적어야되는 숫자가 다름. ※
-maxMem=7168 (자신의 램 용량) ※계산법 예시) 8GB= 8192-1024(윈도우10 유지 램 사용량).
-maxVram=1536 (자신의 그래픽카드 램용량) ※계산법 예시) 2GB = 2048 -512(윈도우10 유지 그래픽 램).
-threads 4 자신의 CPU 스레드 갯수 ※EX)만약 듀얼코어(I5-4200M) 인데 4개의 하이퍼스레드를 지원하는 CPU면 4개 입력.
2. NVIDIA 제어판 옵션.
바탕화면 우클릭 → NVIDIA 제어판 → 3D설정탭에서 "미리보기로 이미지 설정 조정" → "다음 사항을 강조하는 기본 설정 사용"체크 → 바를 성능쪽으로 땡긴후 적용. (필자의 그래픽 카드는 GT740M)
3. ini 파일 수정.
로컬C → Users → 사용자이름 → AppData → Local → TslGame → Saved → Config → WindowsNoEditor
Engine.ini
2개의 파일 수정.
Input.ini
Engine.ini
[SystemSettings]
TEXTUREGROUP_Cinematic=(MinLODSize=256,MaxLODSize=4096,LODBias=0,MipGenSettings=TMGS_Sharpen5)
TEXTUREGROUP_Effects=(MinLODSize=128,MaxLODSize=128,LODBias=0,MipGenSettings=TMGS_Sharpen5,LODStreamingBias=1)
TEXTUREGROUP_Lightmap=(MinLODSize=512,MaxLODSize=512,LODBias=0)
TEXTUREGROUP_Shadowmap=(MinLODSize=256,MaxLODSize=256,LODBias=0,NumStreamedMips=3)
TEXTUREGROUP_RenderTarget=(MinLODSize=1,MaxLODSize=2048,LODBias=0)
TEXTUREGROUP_Skybox=(MinLODSize=512,MaxLODSize=2048,LODBias=0,MipGenSettings=TMGS_Sharpen5)
TEXTUREGROUP_UI=(MinLODSize=256,MaxLODSize=256,LODBias=0)
TEXTUREGROUP_Weapon=(MinLODSize=256,MaxLODSize=2048,LODBias=0,MipGenSettings=TMGS_Sharpen5,LODStreamingBias=0)
TEXTUREGROUP_WeaponNormalMap=(MinLODSize=256,MaxLODSize=2048,LODBias=0,MipGenSettings=TMGS_Sharpen5,LODStreamingBias=2)
TEXTUREGROUP_WeaponSpecular=(MinLODSize=256,MaxLODSize=2048,LODBias=0,MipGenSettings=TMGS_Sharpen5,LODStreamingBias=3)
TEXTUREGROUP_World=(MinLODSize=256,MaxLODSize=2048,LODBias=0,MipGenSettings=TMGS_Sharpen5)
TEXTUREGROUP_WorldNormalMap=(MinLODSize=256,MaxLODSize=1024,LODBias=0,MipGenSettings=TMGS_Sharpen5,LODStreamingBias=1)
TEXTUREGROUP_WorldSpecular=(MinLODSize=256,MaxLODSize=1024,LODBias=0,MipGenSettings=TMGS_Sharpen5,LODStreamingBias=3)
TEXTUREGROUP_Terrain_Heightmap=(MinLODSize=1,MaxLODSize=2048,LODBias=0,MinMagFilter=aniso,MipFilter=point)
TEXTUREGROUP_Terrain_Weightmap=(MinLODSize=1,MaxLODSize=2048,LODBias=0,MinMagFilter=aniso,MipFilter=point)
TEXTUREGROUP_Bokeh=(MinLODSize=1,MaxLODSize=256,LODBias=0,MinMagFilter=linear,MipFilter=linear)
DecalCullDistanceScale=1.000000
OneFrameThreadLag=True
[/Script/OnlineSubsystemUtils.IpNetDriver]
MaxInternetClientRate=15000
NetServerMaxTickRate=15000
LanServerMaxTickRate=15000
※저장이 안되면 Engine.ini 파일 우클릭후 속성 들어가서 읽기전용 체크 해제 후 다시 시도.
Input.ini
[Engine.PlayerInput]
bEnableMouseSmoothing=false
위에 내용은 마우스반응개선.
4. 윈도우 설정(가상메모리 + SD메모리).
1.전원설정.
제어판 → 전원옵션 → "추가 전원 관리 옵션 표시 " → 고성능 체크
2.높은 DPI설정.
스팀라이브러리 → 배틀그라운드 우클릭 → 속성 → 로컬파일 → 로컬 콘텐츠 폴더 보기 → TslGame → Binaries → Win64
들어가서 TslGame.exe 우클릭 → 속성 → 호환성 → 높은 DPI 조정 동작을 재정의 합니다 체크
3.가상메모리 설정.
좌측아래 돋보기 아이콘 클릭 → "고급" 검색 → 고급 시스템 속성 보기 → 고급 → 설정 → 고급 → 가상메모리 변경
※자신의 램용량의 절반(최대치 8GB : 8GB이상 하면 역효과).
4.SD메모리나 USB메모리로 레디부스트 할당.
내PC → SD메모리나 USB메모리아이콘 → 우클릭 → 속성 → 레디부스트 설정
마지막으로 게임내에서 그래픽 설정에 매우 낮음 으로 설정하고 인벤토리열때 장비보기 해제 로 하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최적화는 끝났습니다.
현재 필자는 노트북으로 배틀그라운드를 하고 있으며 여러가지 네이버 블로그 카페 레딧 사이트를 돌아 다니면서 종합적으로 얻은 정보를 종합해서 올립니다.
노트북으로 돌아가는데 프레임 30~60 프레임 왔다갔다 합니다.
반응형
'p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대장 배포] 티스토리 초대장 배포 3장 배포합니다. (마감) (35) | 2018.01.03 |
---|---|
[초대장 배포] 티스토리 초대장 10장 배포합니다. (마감) (25) | 2017.12.30 |
[애드센스] 애드센스 통과하는 방법 (0) | 2017.11.25 |
[게임] 스타크래프트2 무료 플레이 및 업그레이드 (0) | 2017.11.09 |
[극악조건] 노트북으로 배틀그라운드 하기!! (0) | 2017.10.28 |
Comments